한번쯤 궁금했던것

촌수 계산법 촌수 계산방법 부부촌수 친척과 배우자가족 호칭 정리

HI 케빈 2025. 2. 19. 23:40

분명히 친척이라서 종종 보기는 하는데 정확하게는 몇촌 관계인가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아무래도 친척들을 옛날 만큼 자주 보는 것도 아니도 하니 당연한 변화인 것 같아요. 그래도 가족 행사나 명절에는 촌수를 알아야 하는 경우나 호칭을 불러야 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촌수 계산법 계산방법과 함께 부부 포함 친척들의 촌수 계산 방법과 호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글 순서

  1. 친척 호칭
  2. 촌수 계산방법(촌수 계산법)
  3. 결혼했을때 호칭

 


친척 호칭

우리 부모님 세대에서는 자녀를 많이 낳는 경우가 많았어서 그런지 친척들이 많은 분들이 있죠. 저도 부모님 양쪽이 다 5남매씩인지라 친척들이 엄청 많은 편이에요. 그래서 항상 호칭이 많이 헷갈리고는 합니다 ㅎㅎ

촌수 계산방법
촌수 계산방법

 

먼저 친가(아버지쪽 가족)에서 아버지의 형제들중 누나, 여동생은 고모, 아버지의 남동생은 삼촌, 아버지의 형은 백부/백숙부/큰아버지 등으로 부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고모, 삼촌, 큰아버지의 자녀는 재종형제 혹은 종형제라고 하는데 사실 이렇게 말하는 경우는 없고 촌수로 4촌지간인지라 사촌오빠/형/누나, 혹은 사촌동생이라고 대부분 부르죠.

촌수 계산법
촌수 계산법

그리고 외가(어머니쪽 가족)의 경우에는 여자 형제의 경우 이모, 남자형제의 경우 외숙 혹은 외삼촌 이라고 부릅니다. 역시 이모나 외삼촌의 자녀도 이종형제, 외종형제 사이인데 4촌 관계인지라 그냥 사촌형제로 칭하죠.

 

이렇게 친척 호칭 정리에 대해서 안내해드렸는데 위 표만 보시면 어지간한 경우에는 모두 나와서 부를 수 있게 될거에요!

촌수 계산법 촌수 계산방법

가족 관계 촌수
부부 사이 0촌
부모 자식 1촌
형제 자매 2촌
삼촌,.이모, 고모 등 부모의 남자/여자 형제 3촌
삼촌, 이모, 고모 등의 자녀 4촌

 

촌수 계산방법이 궁금하신 분들도 계실탠데, 위의 사진들과 표를 보시면 알 수 있듯이 가계도에서 한칸을 넘어갈 때마다 1칸씩 추가 된다고 보시면 될 것같습니다.

 

그런데 유독 다른 관계가 보이는데 바로 부부사이죠? 부부관계는 비록 핏줄로 연결된 관계는 아니지만 그 누구보다 가까운 사이이기 때문에 부모 자식관계도 1촌이고 나의 형제자매와도 2촌이지만  부부관계의 촌수는 바로 0촌입니다. 배우자에게 가장 잘해야한다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에요~!!^^


결혼했을때 호칭

결혼하고 배우자 가족 호칭
결혼하고 배우자 가족 호칭

 

결혼을 하게 되면 배우자 가족을 지칭하는 호칭도 따로 생기기 때문에 이 부분도 제대로 알아놓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본적인것도 잘 모르면 보수적인 어르신의 경우에는 안좋은 눈으로 보는 경우도 많거든요. 아주 자세하게, 먼 친척까지 부르는 호칭까지는 아니더라도 기본적으로 배우자의 가족을 지칭하는 말 정도는 위의 사진을 참고하셔서 꼭 익혀놓으시길 바랍니다.


이상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