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나 홀로 집에 하이 케빈입니다.
아파트는 사람들이 한 번에 많이 거주 하는 생활환경이기 때문에 주변으로 생활 편의시설, 교육시설이 들어서며 개인 주택처럼 혼자서 관리에 힘쓰지 않아도 관리사무소가 있고 따로 주변 조경이라던가 시스템을 관리해주기 때문에 머리아프지 않게 잘 돌아갑니다. 그리고, 그래서 아파트 거주하는 분들은 빌라나 오피스텔보다는 훨씬 많은 '아파트 관리비용'을 부담하게 되죠. 그런데 아파트 관리비용 부담금을 보다보면 '엘리베이터 사용료(전기료)' '엘리베이터 수선금'이 있습니다.
뭐 5층 이상의 고층 거주하는 분들은 엘리베이터는 무조건 사용하니 별다른 생각이 안들겠지만 1층, 2층의 저층에 사는 분들은 오히려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시간이 더 길어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훨씬 더 많은데 동일하게 내야하는걸까요? 오늘은 아파트 1층, 2층 엘리베이터 사용료와 수리비를 똑같이 부담해야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지하 주차장이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최근에 지어진 아파트는 지하 1,2층까지 지하주차장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지하에만 주차장이 있어 전 세대가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 신축 아파트 단지의 경우에는 대부분 1, 2층 주민에게도 요금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차가 없어도 동일하니 차 없고 엘리베이터를 아예 사용하지 않는 주민 분들의 경우 살짝 억울할 수도 있겠지만 어쩔 수 없는 부분이겠네요 ㅠㅠ
지하 주차장이 없는 경우
반면 지어진지 오래된 구축 아파트의 경우 1,2층 주민 분들은 정말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일이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어떤 아파트에서는 1,2층 주민에게는 엘리베이터 사용료를 부과하지 않으며 다만 아이가 있어 유모차를 사용한다던가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 있어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주민에 대해서는 사용료를 부과하고는 합니다. 혹은 1층 세대는 엘리베이터 사용료를 내지 않으며 2층 부터는 정상적으로 사용료를 부과하는 등 아파트 단지마다 각기 다릅니다.
이렇게 아파트 단지마다 1,2층 엘리베이터 사용료 수선료 부다에 대한 경우가 다른 이유는 아파트 공동주택에 대한 관리규약이 각기 다르기 때문입니다. 아파트 공동주택에 대한 관리규약은 지자체가 마련한 관리규약을 기준으로 입주자 대표회의가 상황에 맞게 조율하여 결정하기 때문에 입니다.
그런데 아파트 사용료, 수선금의 경우에는 몇천원 정도만 지불하기 때문에 크게 문제삼지 않고 넘어갈 수 있으나 엘리베이터 교체하는 비용은 완전히 다릅니다. 엘리베이터 교체 비용은 비용이 훨씬 커서 몇십만원 정도를 부담해야하거든요. 다만, 지난 2019년 12월 양천구 목동 지역에서 엘리베이터 교체 비용을 전체 입주자에게 동일하게 인상, 부과하였는데 1층 입주자가 균등부과는 위법하다고 소송을 제기했으며 서울 남부 지방법원에서는 균등지급할 의무가 없다고 입주자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아예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차등 부과로 지불해야한다는 것 이죠.
아무래도 돈이 걸린 문제인 만큼 예민해질 수 없는데 사실 모두가 알고있는 부분입니다. 지하주차장이 없다면 1층과 2층의 엘리베이터 사용빈도는 정말 얼마 되지 않는다는 것을요! 오늘은 이렇게 1층, 2층 엘리베이터 사용료, 수리비, 교체비용 장기수선충당금과 관리비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부디 도움 되셨으면 좋겠네요^^
'한번쯤 궁금했던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7월 8월 손 없는 날 확인하고 집, 사무실 이사하세요 (0) | 2023.07.07 |
---|---|
2023년 6월 7월 손 없는 날 확인하고 이사하세요! (0) | 2023.06.22 |
2023년 4월 5월 손 없는 날, 돈복 터지는 이사 비방 (0) | 2023.04.05 |
주택구매 앞두고 LTV, DSR, DTI 개념과 계산법 궁금하다면. (0) | 2023.04.04 |
지역난방 개별난방 중앙난방 차이점 뭐가 있을까? (4)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