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쯤 궁금했던것

지역난방 개별난방 중앙난방 차이점 뭐가 있을까?

HI 케빈 2023. 3. 16. 17:12

 

이사를 하게 되면 생전 관심없던 용어들도 찾아봐야하는 일이 종종 발생합니다. 저는 그 중에서 지역난방, 개별난방, 중앙난방 등으로 난방 시스템이 나뉘는게 너무 궁금했었어요. 그냥 집 안에 보일러가 있고 보일러 틀면 되는거 아닌가.. 뭐가 다르기 때문에 나뉘어진건가 싶더라구요. 아마 지금도 옛날의 저 처럼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아서 3가지 난방 시스템의 차이점에 대해서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역난방이란?

열 병합 발전소의 터빈을 돌리고 남은 잉여열을 그냥 없애면 아까우니 근방의 대단지 아파트 등으로 열을 공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각 아파트 동에 열교환기까지 공급하게 된다면 그 이후로는 관리대상에 속하지 않아요. 지역 난방은 각 세대별로 난방조작 밸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열 사용량을 각기 조절할 수 있고 각 방마다 온도조절기도 설치되어 있습니다. 다만 건물에 보일러가 존재하지 않아 가스 누출사고나 배기가스 중독 사고 등에서는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안전합니다.

 

중앙난방이란?

축열조 같은 대규모 열 저장시설을 이용하여 열을 공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각 세대 각 가정에서 온도조절을 따로 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중앙 보일러를 키면 보일러가 켜지는거고 끄면 꺼지는것인지라 어린 아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힘들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한 연료를 평수별로 나누어서 지불하는 형식이라 사용한 열량과 관계 없이 요금이 청구되니 내가 난방을 아낀다고 해도 요금이 저렴해지지 않아 대부분의 세대가 난방 배관을 풀개방해서 사용합니다.

 

개별난방이란?

각 세대별로 난방, 온수에 대한 컨트롤을 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보일러실이 따로 있으며 롯데보일러, 콘덴싱, 귀뚜라미 등등 광고 나오는 보일러가 많잖아요? 그 보일러를 사다가 설치하는 가정이라면 모두 개별난방 방법을 따르고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른 가정과 난방 설비를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세대에서 사용한 분만 요금을 지불 할 수 있어 요금 정산이 깔끔하고 설비 교체도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이렇게 보면 저희 집은 개별난방이네요. 2023년이 되어 가스비용이 많이 올라서 걱정이 많았는데 최대 많이 나온것이 7만원 후반대이고 2월부터도 만원 이하가 나오는 등 아끼니 적은 비용이 청구되어 좋았어요^^ 이제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보일러를 틀어야 할 필요는 많이 줄어들었네요. 이번 글도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