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나 홀로 집에 케빈입니다.
지난번, 제가 포스팅에서 GS건설의 부실공사로 인한 붕괴, 누수, 침수 등의 문제가 생긴 아파트 단지를 정리해서 안내해드렸는데요. 사실 이미 시공중인 자이 아파트 단지가 얼마나 많겠어요? 자이 아파트 청약 분양 받은 분들은 정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닐거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안전상의 위치도 그렇고. 부동산 가격도 문제가 되는거죠. 이왕이면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 가격은 올라야만 하는데 아파트 상위 브랜드를 차지하고 있던 자이가 한순간에 [순살자이],[물갈비자이]라는 타이틀을 차지하게 되면서 부동산 가격이 오르긴 오를까 걱정하게 되는거죠.
GS건설 자이 아파트 부실공사? 자이 물바다, 붕괴 아파트 정리
안녕하세요. 나 홀로 집에 HI케빈입니다. 상당히 GS건설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일들이 점점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분명히 '자이'라는 브랜드 자체가 몇년전까지만 해도 상당히 고급스러웠
surviving-home-alone.tistory.com
그런 와중에 또 하나 GS건설 자이아파트에서 문제가 터졌습니다. 지하주차장이 무너진지 얼마나 지났다고, GS건설의 자이가 주목받고 있는것도 알면서 한 커뮤니티에 GS건설이 시공하는 서울 동대문구의 휘경자이 디센시아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폭우가 내리는 날씨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진행되는 모습이 올라온겁니다.
콘크리트 타설작업은 비가 조금 와도 진행을 하기는 합니다. 비닐을 씌우면 습윤양생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면서 강도가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재료 분리로 인해서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질 수 있고 심각한 크랙이 생길 수 있으며 이는 아파트 입주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레미콘은 물을 필요한 만큼만 넣어서 만든건데 내리는 빗물의 양을 계산해서 물의 양을 조절한 것도 아닐거고요. 누가봐도 이런 날씨에도 공사를 강행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고 의문이 생깁니다. 시공사 입장에서 장비와 레미콘을 불러놓은 상태라면 시공을 하지 않더라도 비용을 지불해야하기에 안그래도 재건축 비용 1조 때문에 회사가 말이 아닌만큼 비용을 줄이기 위함이었다는 가설을 생각해 볼수는 있지만 이런 행동 때문에 다른 부분, 다른 형장들도 제대로 시공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의심스러워지는거죠.
그리고 결국 2023년 7월 14일 동대문구청에서는 서울 휘경 자이 디센시아 아파트 건설현장에 대한 공사중지 명령과 함께 전문기관의 안전진단을 요구하게 되었습니다.
서울 휘경 자이 디센시아 아파트 관계자는 해당 날짜에 오후에 비가 내린다는 예보가 잡혀있어 오전에만 타설하는 것으로 감리 승인을 받았고, 오전 작업 중 비가 올 경우를 대비해 천막 보양을 준비해놓았다. 타설을 중단하고 대기 중인 상황을 보고 비가 오는데 타설을 한 것으로 착각한 것 같다. 라고 입장을 밝혔는데 물론 이 말이 사실이라면 건설사측 관계자들도 당황스럽겠지만 차라리 이 참에 안전진단을 받아 "휘경자이는 안전하다." 라는 입증을 받는 것이 장기적인 시선을 볼 때 훨씬 더 좋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또한 몇일 폭우가 이어지면서, 당첨만 되면 곧바로 5억~6억의 시세 차익을 볼 수 있다고 이른바 '로또 청약'이라고 불리던 흑석 리버파크 자이에서도 침수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아파트 로비의 천장에서 물이 떨어져 바닥에 고여있는 사진과 로비 바닥에 모래주머니로 물을 막는 모습이 공개된건데요. 아직 침수의 원인이 물샘으로 인한 침수인지, 방수턱을 넘어 들어온 넘침인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만 사진을 보면 로비 천장에서 물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 일단 외부문제 뿐만이 아님을 짐작하게 합니다.흑석 리버파크 자이에서의 영상과 사진을 보고 이번에는 [자이아가라]라는 닉네임을 얻었더라구요.
매일 매일 GS건설 자이에는 새로운 닉네임이 추가되고 있습니다.
GS건설 주가는 최저 1만 3700원까지 떨어졌습니다. 한때 5만4천원까지 올랐던 주가를 생각하면 주가가 어마어마하게 급락한거죠. 2003년 이후 20년만의 최저가라고 기록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이런 식의 부실공사 논란이 나올만한 사건들이 터진다면 주가는 제자리를 찾기 힘들어보입니다.
'부동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협, 축협 토지자금 대출, 토지담보 대출 관하여 (0) | 2023.07.24 |
---|---|
필지는 몇평일까. 필지 지번 지목 면적 개념 이해하기 (0) | 2023.07.15 |
토지 용도 변경, 토지 지목 변경 방법. 신청 절차와 방법 (0) | 2023.07.14 |
롯데건설 롯데캐슬 부실공사 침수 아파트 단지 정리 (0) | 2023.07.13 |
대우건설 푸르지오 부실공사? 누수 발생한 아파트 정리. (0) | 202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