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코인경제 공부

주가지수, 채권지수, ETF, ETN, ELW 뜻 개념 알기

HI 케빈 2025. 1. 10. 22:25

주가지수  : 주식시장의 상황을 표시하기 위해서 개별 주가를 정해진 방법으로 계산해서 얻은 값. 주가의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
산출방법으로는 다우존스 방식의 주가평균법/ 스탠더드 앤드 푸어회사의 주가지수 방식이 있는데 우리나라는 후자를 사용하고 있다.
 
채권 : 채권은 정부, 공공기관, 특수법인 등과 주식회사의 형태를 갖춘 기업이 비교적 거액의 장기자금을 일시에 대량으로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서(수익의 발생여부와 관계 없이 이자를 지급해야한다.)
 
채권지수 : 상장되어 있는 모든 채권에 투자할 경우, 기간의 경과에 따라서 발생하는 전 채권의 기간별 투자수익률 또는 일정 시점에서의 가격 수준 및 수익률 수준을 지수화 한 것을 말한다.(채권의 특성으로 실적치지수/가격지수/수익률지수로 나누어짐) 채권의 운영실적과 수익성을 비교하고 수익률을 예축, 분석하여 투자지표로서 이용된다.


 

ETF : KOSPI200, KOSPI50과 같은 특정지수의 수익율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지수연동형 펀드(Index Fund). 인덱스 펀드와 뮤추얼 펀드의 특성을 결합한 상품이다. 2002년 처음으로 도입된 ETF는 인덱스 펀드와는 달리 거래소에 상장돼 일반 주식처럼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다.(이자가 일반 통장보다 많이 붙는다고 ETF통장에 돈을 넣는 사람들이 많다.) 상승장에서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하락장에서는 손실도 커져 고위험ㆍ고수익 상품으로 분류된다. 
 
ETN : 상장지수펀드(ETF)와 마찬가지로 거래소에 상장되어 쉽게 사고팔 수 있는 상장지수채권을 말한다. 주로 증권사가 자사의 신용에 기반해 발행하며 기초지수 수익률에 연동하는 수익을 약속하는 것으로, 만기 이전에 반대 매매가 가능하다. 증권사가 무담보 신용으로 발행하여 발행한 회사는 변동하는 지수 수익률에 의해 결정되는 실질 가치를 투자자에게 만기에 지급하는 계약상의 의무를 가지는데 ELS나 펀드와는 다르다. (괴리율이 커진 상태로 오래 지속되면 거래 정지나 상장폐지되어 투자자들이.....ㅜㅜ)
 
ELW : 주식워런트증권. 특정 대상물(기초자산)을 사전에 정한 미래의 시기(만기일 혹은 행사기간)에 미리 정한 가격(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갖는 유가증권
기초자산/만기/콜/풋이 있어 옵션 매수 포지션과 동일하며 거래의 난이도가 높다.
 


ETF와 ETN의 차이점

  ETF ETN
투자금자산에 투자해야하는 의무 있음의무가 없음
추종지수와 일치하는 현금흐름을 제공한다는 약속만을 사고 파는 것
운용자산운용사가 담당투자은행,증권사가 자기 신용으로 발행하여 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