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코인경제 공부

주식과 코인시장, 지지선과 저항선이 역할을 바꾸는 순간

HI 케빈 2025. 1. 15. 18:02

"추세에 편승하라."
"추세에 역행하지 말라"
라는 말은 주식을 공부하고 시장을 공부하다보면 굉장히 많이 듣고 보게 되는 말이다. 물론, 시장의 방향은 어느쪽이든 일직선으로만 움직이는 일은 없으니 지그재그로 움직이기는 하겠지만 전반적으로 상향이면 상향, 하향이면 하향, 수평이면 수평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 전반적인 움직임이 바로 [추세]이다. 


다우이론 관련 포스팅▼

 

 

 

주식 기술적분석의 기반이 된 다우이론 : 시장은 추세를 따른다.

다우이론 :1882년 찰스 다우와 에드워드 존스가 다우 존스 앤 컴퍼니를 설립. 이후 다우가 그의 이론을 에 일련의 사설로 발표. 1884년 11개 주식의 종가로 구성된 주식시장평균을 처음으로 발표. 1

surviving-home-alone.tistory.com

하향 추세(중추세)안에서도 작은 상승과 하락(소추세)이 반복된다.

시장의 추세란?

추세는 이전에 다우이론을 공부했을때도 분류했는데 주추세, 중추세, 소추세로 나뉘며, 각각의 추세는 자기보다 한단계 장기인 추세의 일부분이 된다.(조정이 될 수도 있는것)
 

 

 

주추세 : 6개월 ~ 1년 정도 지속되는 추세
중추세 : 3주 ~ 3개월까지의 추세
소추세 : 일반적으로 3주 미만 지속되는 추세.

 
예를 들어 주추세는 상향이지만, 시장의 방향은 일직선으로 움직이지 않으니까 2~3주 동안은 하향을 할 수 있고 그러면 소추세는 주추세의 조정기간으로 일부분이 될 수 있는 것이죠. 장기투자를 할지 단기투자를 할지는 이 추세의 어느 방향을 잘 읽느냐에 따라서 달라지겠구요.


지지와 저항

(* 주식시장이든 코인시장이든 차트를 볼 때 지지와 저항을 알아보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 이 시기를 제대로 못맞추면 돈이 순식간에 녹아버리는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지지: 차트 상 골짜기, 혹은 반응 저점. 매수세가 매도세를 능가하는 시장차트의 아랫 부분
(하락 추세에서 지지선을 만나는 것은 영구적인 저지는 하지 못하나 일시적인 하락을 멈추게는 해주며 지지 후 가격이 작은 범위로 오르락 내리락 하면서 수평을 띌 수 있으니 이때 탈출을 하던가.. 해야한다.)
저항: 차트상 윗봉우리.매도세가 매수세를 능가하여 가격 상승이 반전되는 시장차트의 위쪽 부분
(상승 추세에서 저항선을 만나는것은 상승의 일시적인 정지와 함께 소추세가 하락으로 바뀌게 되겠지만 결국 어느 시점에서 저항선은 돌파될 수 있다.)
 
이처럼 지지와 저항의 자리를 아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데, 무작정 가격이 더 오르지 않으면 저항, 가격이 더 떨어지지 않으면 지지가 아니니 알아두어야 한다.
 
 

 
* 상승추세가 계속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연속적인 저항선과 지지선이 직전보다 높아야 한다.
(만약 상승 추세에서 조정 하락이 직전 저점 근처까지 내려오면 상승추세가 끝났거나 수평추세로 바뀐다는 경고 일 수도)
* 하락추세가 계속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연속적인 지지선과 저항선이 직전보다 낮아야 한다.


지지와 저항선이 역할을 바꾸는 신호

지지선이 저항선으로 되는 경우 & 저항선이 지지선이 되는 경우가 있다.
하락추세에서 지지선이 많은 차이로 돌파되면 저항선이 된다. 마찬가지로 상승추세에서 저항선이 많은 차이로 뚫리게 되면 지지선이 된다. 역할이 전환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미리 알게되는 사실이 아니고 이미 역할이 바뀌어서야 알게되는 것으로 큰 의미가 없다. 이를 그 전의 신호에 미리 알고 매수와 매도를 할 수 있어야만 의미가 있는것이다.
하지만 일단 시장이 예층과 달리 충분하게 움직이면서 지지와 저항선이 역할을 바꾸는 상황이 있다는 것을 알아두는 것은 중요하다.
 
장기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기업분석과 그에 따른 투자가 필요하고 투자 시기를 줄이면 줄일수록(단기간 수입을 원할수록) 시장의 흐름과 추세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분별력이 필요하다.그리고 그걸 알기위해서 많은 사람들이 여러 정보를 수집하고 확인하며 공부를 하는 것이고 말이다.
 
그리고 그런 기술적인 분석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로 추세선이다. 추세선에 관한 포스팅은 다음번으로